준비물 - hdd 1T /dev/sda - hdd 1T /dev/sdb 1. fdisk /dev/sda, fdisk /dev/sdb 명령으로 각각 파티션 생성 2. `pvcreate /dev/sda1`, `pvcreate /dev/sdb1` 명령으로 각각 pv 생성 [root@kube4 ~]# pvcreate /dev/sda1 Physical volume "/dev/sda1" successfully created. [root@kube4 ~]# pvcreate /dev/sdb1 Physical volume "/dev/sdb1" successfully created. [root@kube4 ~]# pvscan PV /dev/sdc2 VG centos_cluster-test lvm2 [
/etc/fstab 에 아래 내용으로 추가한다 /dev/md126p1 /home2 xfs defaults 0 0 1 2 3 4 5 6 참고 1.FileSystem Device Name(파일시스템장치명) 파일시스템장치명은 곧 파티션들의 위치를 말합니다. 위에 fdisk -l를 처서 나온 부분을 보시면 /dev/sdb1~6까지의 파티션장치의 위치 즉, 주소를 나타내는것이 보일겁니다. 이러한 장치면을 써주는 필드입니다. 그대로 /dev/sdb1이런식으로 쓸수도있지만 라벨(Label)을 이용해서도 사용 가능합니다. 다른 항목들 소개후 라벨과 장치명 모두 사용하는 예를 들어보도록 할께요. 2.Mount Point(마운트포인트) 등록할 파티션을 어디에 위치한 디렉토리에 연결할것인지 설정하는 필드입니다. 마운트 시켜..
- Total
- Today
- Yesterday
- ld 옵션
- Ignoring CMAKE_OSX_SYSROOT value
- CLion
- pf.anchors
- lvremove
- aix compile
- centos7
- noipath
- aix ld
- physicaldisk
- update
- 파티션 추가
- mirrorlist
- CMAKE_OSX_SYSROOT
- yum
- fielddata
- _stats
- postgresql11
- vgcreate
- firewall-cmd service
- pfctl
- install
- linux
- Repository
- virtualbox
- _status
- 물리디스크
- lvm 늘리기
- 센트6
- CentOS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